닫기

로그인

  • 홈으로
  • 학회지
  • 논문검색

KOREAN ASSOCATION OF INTERNATIONAL CULTURE EXCHANGE

논문검색

ISSN 2765-513X (Online) / ISSN 2765-5040 (Print)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구 문화교류연구), Vol.9 no.2 (2020)
pp.1~24

DOI : 10.30974/kaice.2020.9.2.1

- 문화다양성 교육정책 분석과 발전 방안 탐색 -

이정금

(순천대학교 강사)

이병환

(순천대학교 교수.)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문화다양성 교육정책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문화다양성 교육정책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문화다양성과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현재 정부 주도로 실시되는 문화다양성 교육정책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여 우리 사회에 맞는 문화다양성 교육정책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문화다양성 교육정책의 문제점은 첫째, 다문화교육과 문화다양성 교육 용어의 혼용, 둘째, 동화주의 교육정책의 시행, 셋째, 주요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의 다문화수용성, 넷째, 1회성 사업추진 및 중복지원으로 정리할 수 있다. 문화다양성 교육정책의 발전 방안으로는 첫째, 동화주의 정책에서 문화다양성 교육으로 전환, 둘째, 다문화교육과 문화다양성 교육에 대한 용어의 정리, 셋째 문화다양성 교육 기회의 확대, 넷째, 학교의 정규교육과정에 문화다양성 교과목의 신설, 다섯째, 학교 안팎에서 상호문화교류의 장 마련, 여섯째, 문화다양성 교육을 통한 새로운 문화 창출 등을 제안하였다. 무엇보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육정책 입안자들을 포함하여 일선 학교의 교원들이 문화다양성 교육에 대한 적극적이고 전향적인 자세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Exploring the Direction of Education Policy for Cultural Diversity in a Multicultural Society

Lee Jungkeum

Lee Byunghw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in Korea b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re summarized, and the current state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conducted by the government is analyzed to find ways to develop a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suitable for our society. Di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blems of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are as follows: First, the mixed use of the ter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of assimilation, third,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still lower than that of major developed countries, and the fourth, one-time project promotion and redundant support Etc. As a way to develop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firstly, the transition from assimilation policy to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second, the definition of ter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he third expansion of national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d fourth, cultural diversity in regular subjects at schools The creation of a new curriculum, the fifth, the establishment of a cross-cultural exchange field, and the creation of a third new culture as an open perspective on the sixth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다운로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