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로그인

  • 홈으로
  • 학회지
  • 논문검색

KOREAN ASSOCATION OF INTERNATIONAL CULTURE EXCHANGE

논문검색

ISSN 2765-513X (Online) / ISSN 2765-5040 (Print)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구 문화교류연구), Vol.9 no.2 (2020)
pp.25~46

DOI : 10.30974/kaice.2020.9.2.2

- 민주시민교육 정책 정합성 연구 - 경기도교육청 정책을 중심으로 - -

황현정

(경기도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 장학사.)

민주시민교육은 사회과에서 다루어온 교육 활동 영역이다. 그런데, 혁신학교 정책이 추진되면서 시민교육을 정책으로 접근하기 시작하였다. 혁신학교 정책을 최초 추진한 경기도교육청은 학교혁신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 교사와 학생, 학부모가 요구하던 ‘학교 민주주의의’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민주시민교육 정책을 추진하였다. 혁신교육 10년, 이 시점에서 정책의 정합성을 살펴보고, 민주시민교육 정책이 순항하기 위한 점검이 필요하다. 우선 정책 정합성 선행연구를 토대로 ‘목표 일치성’, ‘수단 간 조응성’, ‘가치 규범성’의 3개 영역을 설정하고, 경기교육기본 방향이 담긴 문건에 기초하여 영역별로 분석 요소를 추출하여 준거를 설정하였다. 설정한 준거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과, 교사와 학생이 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한 학생자치와 학교자치, 청소년 의회 등의 정책이 목표 일치성에 부합하였으며, 마을교육공동체, 학부모 및 지역민의 교육 주체화 등 영역에서도 정책의 수단 간 조응성이 높았다. 가치 규범성의 경우, 평화 가치와 학교 민주주의, 인권 등의 가치 지향적인 정책이 실행된 부분과 역사교육이 시민교육으로 자리 잡는 정책 등 시민의식을 고양하는 정책이 대체로 추진되었다. 향후 사회 현안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이 담당할 수 있는 범주와 그 역할은 넓고 많다. 학생이 시민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정책에 집중할 필요가 있겠다.

A Study on the Consistenc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olicy

Hwang Hyun Ju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an area of educational activity that has been covered by the social studies department. However, as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was implemented, the government began to approach citizenship education as a polic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hich first promoted the innovation school policy, promoted variou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olicies to realize the “school democracy” demanded by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in order to successfully settle school innov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nsistency of policies at this point in the 10th year of innovative education, and to check the progres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olicies. First of all, based on the prior study of policy consistency, three areas of ‘goal consistency’, ‘coordination between means’, and ‘value normality’ were set, and analysis elements were extracted by region based on documents containing the basic direction of Gyeonggi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established criteria, policies such as student autonomy, school autonomy, and youth councils for teachers and students to grow into citizens met their goals, and the coordination among the means of policies was high in areas such as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parents and local residents’ self-reliance of education. In the case of value normality, policies to enhance citizenship awareness were generally implemented, including those that implemented value-oriented policies such as peace values, ‘school democracy’, and human rights, and those that established history education as citizenship education. The categories and roles that citizenship education can take on, focusing on future social issues, are wide and numerous. We need to focus on policies that allow students to grow up as citizens.

다운로드 리스트